OSI계층이 좀더 학문적인 느낌이라면, OSI 이론을 실제로 실무에서 사용하는 인터넷 표준이 TCP/IP 4계층이다.
계층을 나누는 이유?
통신이 일어나는 과정을 단계별로 파악하기 용이하여, 특정 계층에서 장애 발생하더라도 다른 계층의 장비나 소프트웨어를 건들이는 헛수고를 안할수 있다는 장점.
TCP/IP 프로토콜
상위 계층 TCP : 메시지나 파일을 좀 더 작은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고, 받은 패킷은 원래의 메시지로 조립하는 일 담당.
하위 계층 IP : 각 패킷의 주소부분을 처리하여 패킷들이 목적지에 정확하게 도달할수 있도록함.
1.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계층
OSI7계층의 물리계층과 데이터링크계층에 해당.
실제로 TCP/IP 패킷을 주고받는 계층이다.
통신시 MAC주소를 사용하며,
수행하는 기능으로는 에러 검출, 패킷의 프레임화 등이 있다.
자세한 특징은 아래 OSI 7계층의 물리,데이터링크 계층에서 각각 설명.
프로토콜 종류: Ethernet 등이 있다.
2. 인터넷 계층
가장 중요한 기능은 Routing(경로설정: 데이터를 목적지까지 가장 안전하고 빠르게 전달하는 기능)
그외에도 Addressing(IP주소부여), packaging 이 있다.
네트워크상 최종 목적지까지 정확하게 연결되도록 연결성을 제공한다.
프로토콜 종류: IP, ARP, RARP, ICMP
3. 전송 계층
프로토콜 종류: TCP, UDP
*전송계층이 수행하는 기능은 TCP, UDP를 나누어 추후에 정리할예정.
4. 애플리케이션 계층
OSI 7계층의 세션,표현,응용 계층에 해당
사용자를 위한 UI 인터페이스 소프트웨어, 입출력 부분 등을 담당한다.
프로토콜 종류: FTP, HTTP, SSH, SMTP, DNS
*DNS에 대해서 따로 다룰예정.
OSI 7계층 모델
1. 물리 계층 (단위: 비트)
컴퓨터와 네트워크 장비를 연결하고 장치간 전송되는 데이터를 전기 신호로 변환( 비트->전기신호, 전기신호->비트)
유선과 무선이 있으며 , 유선이 일반적이다.
흔히 쓰이는 UTP케이블을 예로 들수있음.
대표적인 장비로는 랜카드, 리피터, AP, 허브 등이 있다.
-NIC: 0과 1만으로 이루어진 비트열을 랜카드로 전송하여 전기 신호로 변환(데이터 송수신) 유선 랜카드, 무선 랜카드 있음. -리피터: 약해진 신호를 증폭하여 다른쪽으로 전달. 먼 거리에 신호가 가야할때, 중간에 리피터 배치하여 중계하도록 할때 쓰임 -AP(Access Point): 무선 기기들은 AP에게 무선신호를 전송하고, AP는 해당 신호를 유선신호로 변환하여 네트워크에 전달. 즉, 유선네트워크와 무선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.
2.4Ghz/5Ghz의 무선신호가 저절로 utp cable 구리동선으로 들어가서 신호가 변환이 되어 갈 수는 없으므로.
그렇다면 핸드폰에서 WIFI접속하여 '네이버주소'를 입력하면?
--> 휴대폰이 검색명령을 무선신호로 AP에게 전송한다.
AP는 해당 신호를 유선신호로 변환하여 유선네트워크로 전달하고, 유선네트워크에서 검색결과를 받아 무선신호로 변환하여 다시 휴대폰에 전송함.
2. 데이터링크 계층 (단위: 프레임)
'직접 연결된' 서로 다른 2개의 네트워크 장치간 데이터전송을 담당.
데이터 링크 계층에서는 말 그대로 직접 연결된 장치와 통신만 생각한다. 그 외의 통신관련 문제는 해당 계층에서는 고려x
즉, 물리 계층에서 사용되는 장비를 이용하여 호스트 사이의 연결 및 데이터 전송 기능과 관리를 하는 계층이다.
MAC Address 가지고 통신
우리가 흔히 아는 ip주소간의 통신은 이 MAC주소의 통신의 연속된 과정이라고 볼수있다.
MAC주소는 컴퓨터나 노트북에 있는 LAN카드를 구별하기 위한 식별번호라고 한다.(물리적 주소)
수행하는 서비스로는
- 프레이밍 : 데이터 배열에 Data, Header, Trailer 등을 넣어서 캡슐화(Encapsulate) 진행
- 흐름제어 : 송신자와 수신자의 처리 속도간의 차이를 해결하기 위한 제어. (송신 측이 수신 측의 데이터 처리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보낸다면 버퍼가 길어질 것이며, 버퍼의 길이는 제한되어있으므로)
- 에러확인 : 에러를 검출하는 방법에는 직접 수정하는 방법과수신받은 데이터배열을 폐기하고 송신측에 데이터를 재요청 하는 방법이 있다.
이더넷 프레임을 통해 에러확인, 흐름제어,접근제어 등을 수행
대표 장비로 브리지, 스위치가 있음.
-스위치: 장치들의 MAC주소를 맥 주소 테이블로 관리. 패킷 전송을 담당. -브리지: 두개의 LAN을 상호 접속 할수있도록 연결. 포트와 포트 사이의 다리 역할.
3. 네트워크 계층 (단위: 패킷)
원하는 곳으로 잘보내고 있는지, 효율적인 방법으로 보내는지 어떻게 보장하느냐? -->이거를 네트워크 계층이 담당한다.
ip주소는 데이터 통신시의 시작점과 끝점을 의미,
MAC주소는 직접적으로 연결된 노드와 통신할때 사용되는 주소.
프로토콜 종류 : IP, ARP, RARP
라우터: 일종의 지능이 있는 경로 배정기
공유기 : 2개의 서로 다른 네트워크를 연결.
공인 ip주소를받아서 연결되는 실제 네트워크와 가상으로 192.168.x.x 주소를 부여하는 사설 네트워크(LAN)를 연결시켜서 사설 네트워크에 연결된 pc가 실제 인터넷에 연결되게 한다.